- 톰켓이란?

 

* 웹서버

정적인 파일을 응답해줌.

 

웹서버 : 아파치

자바코드와 같은 아파치가 이해하지 못하는 파일 요청이 오면 톰켓에게 넘긴다

톰켓은 JSP 파일을 컴파일하여 html파일로 변환 후 웹 브라우저로 response한다.

 

 

 

 

강의 주소 : https://youtu.be/fBcL6hPckyA

- HTTP가 무엇인지 궁금해요!

 

* 소켓통신

장점 : 계속 연결되어 있음

단점 : 연결 된 수가 많아질수록 부하가 증가

 

* HTTP 통신 : stateless 방식을 이용

장점 : 부하가 적음

단점 : 기존 연결했던 사용자가 누군지 모름

 

HTTP의 목적 : Html(확장자)인 문서를 전달

* HTTP의 유래

스위스의 cern 연구소에서 학자들이 논문 발표전 자신의 주제와 동일한 내용의 논문을 읽어보고 발표해야 하기에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팀버너스리'가 한 대의 서버에 모든 논문을 올리고 이를 열람하는 것에서 시작 됨.

 

 

 

강의 주소 : https://youtu.be/pifmwZWWbuY

- OOP 관점에서 모델링이란?

 

Class Car {

    int id; (PK)

    String name;

    String color;

    Engine engine;

    TimeStamp createDate;

    TimeStamp updateDate;

}

 

Class Engine {

    int id;

    int power;

    TimeStamp createDate;

    TimeStamp updateDate;

}

 

JPA 자동생성

 

Class EntityDate {

    TimeStamp createDate;

    TImeStamp updateData;

}

 

기존 Car, Engine  클래스에 EntityDate를 상속

Class Card extends EntityDate {}

Class Engine  extends EntityDate {}

 

 

- 방언 처리가 용이하여 Migration하기 좋음. 유지보수에도 좋음.

추상화 객체를 이용해 DB에 연결

 

 

강의 주소 : https://youtu.be/vRoZAMX95Mc

- 영속성 컨텍스트란 무엇인가요?

 

영속성 : 데이터 ---> 영구적으로 저장!

                                                 DB ( MySQL을 이용할 예정)

 

컨텍스트 : context (대상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다 갖고 있다는 것)

 

 

영속성 컨텍스트를 통해 자바는 DB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고,

데이터가 변한다면 영속성 컨텍스트를 통해 동기화를 진행한다.

 

 

 

- JPA는 DB와 OOP의 불일치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DB는 객체저장 불가능)

 

DB는 Player 이대호의 teamId는 Integer라는 데이터를 갖고있는거지, team 테이블의 Id, Name, Year 3가지 데이터인 오브젝트를 갖지 못한다.

 

 

자바가 주도권을 쥐고 있는 모델을 만들 수 있다.

 

 

 

강의 주소 : https://youtu.be/tXyDmqoMmKE

- ORM이란 무엇인가요?

  Object Relational Mapping

 

ORM -> 나의 하인!

 

자바와 DB의 데이터 타입은 다르다!

 

기존 순서는 DB의 데이터를 자바세상에 모델링 하는 것이다.

 

ORM은 자바세상의 데이터를 DB세상에 매핑한다.

 

JPA는 DB 커넥션, 쿼리전송 및 데이터 변환과 같은 단순 반복 작업을 쉽게 처리하게 해준다.

 

 

 

강의 주소 : https://youtu.be/4CRpndN3tP0

+ Recent posts